초개인화 뱅킹(Hyper-personalized banking)은 인공지능, 마이 데이터 등의 기술을 활용해 개인의 금융생활 전반을 세밀하게 실시간으로 지원하는 디지털 금융서비스로 은행업의 주요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은행의 초개인화 서비스
① 세밀한 금융생활 관리
② 실시간(real-time)으로 금융활동 지원
③ 금융니즈 예측을 통한 선제적 대응 등
우리은행
우리은행 모바일 플랫폼 내의 ‘우리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금융생활 분석, 상품 추천 등의 초개인화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업계 최초로 구독 서비스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기능을 개발
- 자산·소비 현황, 요일별 지출, 연말정산 준비, 여유자금 저축 등 금융생활을 항목별로 정리하여 표시
- 유통, 통신 등의 협력사 앱에서도 우리은행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화이트 라벨링 서비스 제공
- 업계 최초로 개인이 사용하고 있는 구독서비스(바디프랜드, 블라이스(웹소설), 에치와이(한국야쿠르트), 빨간펜 등)를 한 번에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 향후 다양한 구독서비스 제공 업체들과의 제휴를 확대할 계획
우리은행
우리WON뱅킹 새 시대의 금융을 켜다, 우리은행 대표 모바일뱅킹 APP
www.wooribank.com
신한은행
모바일 앱 ‘머니버스(MoneyVerse)’를 통해 개인의 금융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
- 절세 방법, 소비분석, 가입 보험상품 분석, 신용관리 등 고객의 금융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
- 여행, 주택마련 등 개인이 설정한 목표 달성을 위한 실행방안을 추천
- 개인의 소비패턴 분석을 통해 맞춤형 금융상품을 추천하고, 동일한 연령대의 고객들이 많이 가입한 상품을 표시
- ‘마이 캘린더’ 기능을 통해 아파트 청약, 주요 IPO 일정 등 개인이 관심 있는 금융일정을 통보
https://www.shinhan.com/index.jsp
신한은행
www.shinhan.com
KB국민은행
2021년 개편한 모바일 플랫폼 ‘뉴 스타뱅킹’을 중심으로 자산·지출 내역 분석, 목표 달성을 위한 투자계획 등 자산관리에 초점을 둔 초개인화 뱅킹 서비스를 제공
- 자산과 지출 내역을 분석해 고객이 관심을 가질만한 목표를 먼저 제안하고, 실제 저축·투자와 연계한 맞춤형 목표관리 방안을 제안
- 추가로 부동산 가격, 개인의 자산 정보 등을 활용해 주택과 자동차 구입을 원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목표 달성방안을 제시
KB국민은행
www.kbstar.com
하나은행
소비진단, 자산관리, 핫플레이스 추천 등이 서비스가 탑재된 그룹 공통의 마이데이터 플랫폼 ‘하나 합’을 운영 중
- 인공지능이 고객의 소비내역을 진단해주는 가계부 서비스를 제공하며, 개인지출과 예산에 맞게 적절한 소비를 지원
- 금융자산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전달해주고, 자동차와 부동산과 같은 비금융 자산을 비롯해 신용점수 관리 서비스도 포함
- ‘내 주변 핫플’은 결제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시간 핫플레이스를 안내해주는 서비스로 맛집, 카페 등의 핫플레이스별 단골 비중, 방문 추세, 방문객 특성 등을 분석해 전달
- 리뷰나 별점 기반의 핫플레이스 선정이 아닌 결제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 주요 특징
하나카드 고객을 대상으로 특정 핫플레이스 할인 쿠폰을 제시
- 리뷰나 별점 기반의 핫플레이스 선정이 아닌 결제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이 주요 특징
하나은행
재생 정지 / 레이어팝업으로 슬라이드 전체보기
www.kebhana.com
초개인화 뱅킹은 미래 은행업의 핵심 디지털 경쟁력이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역량 강화를 위한 공격적인 기술 투자와 서비스 개발이 중요합니다.
유명 연예인 광고 보다 고도화된 인공지능, 데이터 사이언스 등의 디지털 금융 기술력을 확보하고 내재화하는 것이 필수 요소이며, 특히 금융행동 예측과 관련한 기술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습니다.
고객이 이 은행의 서비스가 정말 나에게 맞춰줬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도록 많은 기존의 데이터를 분석 활용하는 것도 중요한 시작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스폰서 광고